전국 블록체인 기업 중 절반 "부산 블록체인 특구 모른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마린보이 댓글 0건 조회 5,582회 작성일 22-07-14 09:18본문
부산시가 부산 블록체인 특구 활성화에 애쓰고 있지만, 정작 전국의 관련 기업 둘 중 하나는 부산에 블록체인 특구가 있다는 사실도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공회의소는 전국 블록체인 기업 465개사를 대상으로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에 대한 기업 인식 조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그 결과 조사 기업의 절반에 가까운 48.2%가 ‘부산이 블록체인 특구로 지정된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또한 ‘이름만 들어본 적 있다’는 응답 비중도 21.1%에 달해 부산 블록체인 특구에 대한 인지도는 사실상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블록체인 특구에 대한 낮은 인지도에도 불구하고 ‘부산에서의 사업 추진’에는 긍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사업추진 의향이 있다’는 기업이 21.7%였으며, ‘인센티브가 보장된다면 사업 추진을 고려할 수 있다’는 기업도 38.6%로 나타났다. 반면 ‘전혀 의향이 없다’는 기업도 전체 응답 비중의 39.8%를 차지했다.
그러나 부산에서의 사업 추진 의향과는 별개로 현재의 부산 블록체인 산업 생태계에 대한 평가는 냉정했다. 블록체인 특구로 지정됐지만 정작 수도권보다 사업 여건이 좋지 않다는 인식이 대부분이었다. 비즈니스 환경에 대해 54.8%가 ‘미흡하다’고 응답했고, 43.4%도 ‘별다른 장점이 없다’고 평가했다. 인재풀이나 기술 및 정보 접근성에서도 각각 53.6%가 ‘미흡하다’고 답했다.
다만 최근 부산시가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자산거래소’에 대한 기대감만큼은 높았다. 응답자의 86.1%가 디지털자산거래소가 부산에 설립되면 자금 확보나 특구 인센티브 확대, 가상자산의 신뢰성 확보, 금융 산업과의 시너지 등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기업 지원이나 특구의 시너지 확대 등을 확보하기 위해 ‘블록체인산업진흥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84.9%나 됐다.
블록체인 특구 내 가상자산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응답 기업 중 66.3%가 가산자산은 ‘블록체인 산업 발전을 위해 중요한 요소’라고 답했다. 지금까지는 블록체인 기술 분야 중에서도 가상자산 분야만큼은 정부 정책적 입장에 따라 특구 사업에서 제외돼 왔다. 결국 규제자유특구라고 하면서도 정부의 입맛에 맞는 사업만 선정, 제한된 지원만 반복해서는 블록체인 특구가 활성화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국내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를 막는 가장 큰 걸림돌’로 ‘규제’를 꼽은 기업(34.3%)이 가장 많았다. 이어 ‘미흡한 정책적 관심과 지원’(25.3%), ‘기술 인력 부족’(10.2%), ‘자금 부족’(9.6%), ‘기술 수요 불확실성’(7.8%), ‘샌드박스 등 제도 활용의 어려움’(3.0%) 순이었다.
부산상의 기업동향분석센터 관계자는 “블록체인 산업은 이제 시작단계인 만큼 규제특구답게 다양한 모험과 시도를 통해 산업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규제의 장벽을 과감하게 낮춰줘야 한다”며 “부산 블록체인 특구가 제대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기존 실증사업의 틀을 벗어나 국내 관련 기업의 집적화를 통해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전략이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상공회의소는 전국 블록체인 기업 465개사를 대상으로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에 대한 기업 인식 조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그 결과 조사 기업의 절반에 가까운 48.2%가 ‘부산이 블록체인 특구로 지정된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또한 ‘이름만 들어본 적 있다’는 응답 비중도 21.1%에 달해 부산 블록체인 특구에 대한 인지도는 사실상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블록체인 특구에 대한 낮은 인지도에도 불구하고 ‘부산에서의 사업 추진’에는 긍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사업추진 의향이 있다’는 기업이 21.7%였으며, ‘인센티브가 보장된다면 사업 추진을 고려할 수 있다’는 기업도 38.6%로 나타났다. 반면 ‘전혀 의향이 없다’는 기업도 전체 응답 비중의 39.8%를 차지했다.
그러나 부산에서의 사업 추진 의향과는 별개로 현재의 부산 블록체인 산업 생태계에 대한 평가는 냉정했다. 블록체인 특구로 지정됐지만 정작 수도권보다 사업 여건이 좋지 않다는 인식이 대부분이었다. 비즈니스 환경에 대해 54.8%가 ‘미흡하다’고 응답했고, 43.4%도 ‘별다른 장점이 없다’고 평가했다. 인재풀이나 기술 및 정보 접근성에서도 각각 53.6%가 ‘미흡하다’고 답했다.
다만 최근 부산시가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자산거래소’에 대한 기대감만큼은 높았다. 응답자의 86.1%가 디지털자산거래소가 부산에 설립되면 자금 확보나 특구 인센티브 확대, 가상자산의 신뢰성 확보, 금융 산업과의 시너지 등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기업 지원이나 특구의 시너지 확대 등을 확보하기 위해 ‘블록체인산업진흥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84.9%나 됐다.
블록체인 특구 내 가상자산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응답 기업 중 66.3%가 가산자산은 ‘블록체인 산업 발전을 위해 중요한 요소’라고 답했다. 지금까지는 블록체인 기술 분야 중에서도 가상자산 분야만큼은 정부 정책적 입장에 따라 특구 사업에서 제외돼 왔다. 결국 규제자유특구라고 하면서도 정부의 입맛에 맞는 사업만 선정, 제한된 지원만 반복해서는 블록체인 특구가 활성화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국내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를 막는 가장 큰 걸림돌’로 ‘규제’를 꼽은 기업(34.3%)이 가장 많았다. 이어 ‘미흡한 정책적 관심과 지원’(25.3%), ‘기술 인력 부족’(10.2%), ‘자금 부족’(9.6%), ‘기술 수요 불확실성’(7.8%), ‘샌드박스 등 제도 활용의 어려움’(3.0%) 순이었다.
부산상의 기업동향분석센터 관계자는 “블록체인 산업은 이제 시작단계인 만큼 규제특구답게 다양한 모험과 시도를 통해 산업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규제의 장벽을 과감하게 낮춰줘야 한다”며 “부산 블록체인 특구가 제대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기존 실증사업의 틀을 벗어나 국내 관련 기업의 집적화를 통해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전략이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