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활용한 ‘P2E 게임’, 황금알일까 신기루일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마린보이 댓글 0건 조회 2,224회 작성일 23-04-26 09:26

본문

규제 완화 기대감 속 시선집중

지난해 ‘크립토 윈터’(가상자산의 가격이 급락하고 거래량이 저조해지는 것을 겨울에 비유한 단어) 도래 후 가상화폐 게임의 거품은 덩달아 걷혔다. 그러면서 이 분야가 게임 산업계의 미래 먹거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비로소 들여다보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관련 규제가 상당부분 완화될 거란 기대가 최근 정부, 국회에서 나오는 상황에서 산업계가 각종 리스크를 추스르고 불씨를 살릴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25일 국회와 업계 등에 따르면 돈 버는 게임(play to earn, P2E)에 대한 최근 정부의 규제 해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가상화폐가 들어간 게임은 현금화를 통해 수익 창출을 할 수 있기에 통상 ‘P2E’로 불린다. 하지만 국내에선 불법이다. 게임 내에서 얻은 아이템을 환전하는 행위를 게임진흥법에서 금지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P2E 사업을 하는 게임사들은 대부분 해외에서 사업을 타진하고 있다.

P2E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생태계를 조성하기 때문에 미래 지향적인 사업으로 평가된다. 국내에서 P2E에 적극적인 게임사는 위메이드, 넷마블, 컴투스 등이다. 게임사에선 가상화폐를 기축통화로 하는 게임 생태계가 산업계에 새 패러다임을 제시할 거라 기대한다. 이론적으로 게임 내 캐릭터나 아이템을 대체불가토큰(NFT)화 하고, 가상화폐를 게임 내 통화로 유통하면 하나의 완전한 사이버 사회를 구현할 수 있다. 가상화폐 ‘위믹스’를 발행하는 위메이드의 장현국 대표는 “P2E는 아무도 거역할 수 없는 패러다임의 변화”라며 강한 자신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최근 정부는 ‘가상자산 법제화’와 ‘산업계 규제 혁신’을 동시에 추진하면서 P2E도 허용하는 기조로 가고 있다. 지난달 초 국무총리 주재 규제혁신전략회의에서는 메타버스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선제적 규제 혁신 방안이 논의됐는데 ‘선 허용, 후 규제’ ‘민간 중심의 자율규제’ 등 시장 친화적 표현들이 여럿 나왔다. 같은 달 국무조정실 규제혁신추진단은 ‘게임산업 규제 개선 및 진흥 방안’ 연구용역을 발주해 P2E 게임의 선결과제, 파급 효과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해당 연구용역의 목적이 ‘게임 산업 규제 개선 및 진흥을 위한 중점과제 도출’이라는 점에서 P2E가 연구 대상으로 올라온 건 관련 규제를 풀 상당한 의지를 드러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박보균 문체부 장관은 얼마 전 대정부 질의에서 “P2E 게임 문제에 대해 정면돌파 하겠다”고 발언했다. 게임 관련 의정활동을 활발히 해온 한 여당 측 보좌진은 “(정부가) P2E를 허용하는 쪽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고 귀띔했다.

제도적으로는 시장을 풀어주는 분위기지만 이를 마냥 긍정적으로만 받아들일 순 없다. 산업계가 아직 채비를 못 갖춘 형국이기 때문이다. 수년간 각종 사건사고를 겪은 게임사들의 기술적 보완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게이머들이 체감하는 가장 큰 문제는 가상화폐의 높은 변동성이다. 통상 가상화폐는 실물 가치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거래소나 디파이 시스템 상 큰폭의 등락을 반복한다. 이 같은 불안정성은 게이머가 NFT 형태로 보유한 캐릭터나 아이템의 가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아울러 가상화폐 시장에서 발생하는 도덕적 해이를 답습하지 않을 장치도 필요하다. 가상화폐 발행사인 게임사가 비밀리에 스톡옵션을 발동하거나 가상화폐를 급작스럽게 대량 매도하고 발행량을 조작하는 문제는 시장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원흉으로 지목된다.

블록체인 업계에서의 부정적 뉴스에 쉽게 휘둘리는 문제도 있다. 소규모 P2E 게임사의 경우 루나 폭락, FTX 파산 등의 부정적 뉴스가 휘몰아쳤던 당시 자금난에 시달리다가 끝내 회사 문을 닫았다. 한 P2E 게임사 관계자는 “게임에서 가상화폐를 활용하면 결국 블록체인 시장 이슈와 떼어놓고 생각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전했다.

수익 모델도 정비해야 한다. 한 P2E 게임사 관계자는 “현재의 수수료율로는 이용자가 대거 유입된다고 해도 수익이 낮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P2E에 대한 이용자 진입 장벽을 낮춰야 하는 과제도 있다. 게임 설치뿐 아니라 코인 지갑 생성, 입금 주소 및 전송 네트워크 확인 등 복잡한 절차가 높은 턱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정현 중앙대 교수는 “단순히 게임에 코인을 달아서 출시하는 방식의 게임은 더 이상 식상하다”면서 “유럽, 미국에서는 P2E가 시장에 진입도 못할 정도로 천대 받는다. ‘프리 투 플레이(free to play)’, 가상화폐 안정성 확보 등의 조건을 제대로 충족하지 않으면 법이 허용해도 미래가 없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다니엘 기자(dne@kmib.co.kr), 정진솔 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카테고리

카테고리
 자유게시판
 갤러리
 Q&A
 심리테스트
 kpop잡담방
뉴스
 게임
뉴스
공지사항
출석체크
출석한 사람이 없습니다.
가입인사
포인트게임

전체 포인트 순위

  • 1마린보이20,320
  • 2돼지김밥11,820
  • 3도깨비빤스7,750
  • 4베키아5,960
  • 5랩스몬스터3,030
  • 6벼와쌀을분리3,000
  • 7빨간바지2,850
  • 8건담2,100
  • 9soulKim1,430
  • 10소원을말해봐1,160
nftmonster | NFT몬스터